본문 바로가기
아롱빛의 생존기/지원금▪보조금 꿀팁

청년 대상 금융사기 예방법 | 스미싱부터 대출사기까지 실사례 중심 2025년 최신판

by 아롱빛 2025. 7. 25.

"실수로 링크를 눌렀는데, 통장에서 돈이 빠져나갔어요."
"정부 지원금이라더니, 300만 원을 먼저 송금하라고 하더군요."

이런 피해 사례, 남의 얘기 같지만 실제로는
청년층, 특히 1인 가구와 비대면 소득 활동자(프리랜서, 크리에이터) 사이에서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AI·챗봇·정부 보조금 등
‘그럴듯하게’ 포장된 사기 수법은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으며,
피해자 10명 중 6명 이상이 20~30대 청년이라는 통계도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 청년 타깃 금융사기 주요 유형
- 실사례 중심 예시
- 실제 대응 방법과 예방책
을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청년이 주요 타깃이 되는 이유

이유 설명
비대면 금융 사용률 ↑ 모바일뱅킹·간편송금 비율 높음
소득·자산 정보 부족 금융지식 미숙, '쉽게 속는다'는 인식
정부지원 제도 많음 사기범이 보조금·지원금으로 위장
SNS·DM 노출 많음 DM·광고·댓글로 접근 쉬움
 

2025년 현재, 피해 접수된 스미싱 피해자의 67%가 만 39세 이하 청년
(출처: 금융감독원 2025.5월 보도자료)

 

청년 대상 주요 금융사기 유형

정부 지원금 위장 사기 (가장 많음)

  • “2025년 청년지원금 수령 대상자입니다.”
  • “신속 지급을 위해 계좌 인증이 필요합니다.”
  • → 가짜 링크 클릭 유도 → 앱 설치 → 계좌 정보 유출

대부분 카카오톡 메시지, 문자, SNS DM으로 전송됨
정부 정책 + 통장 입금"이 조합되면 90% 이상 사기 의심해야 함

 

대출빙자 보증금 사기

  • “당신은 대출 승인 대상자입니다.”
  • “보증보험 가입비 30만 원만 먼저 입금하세요.”
  • → 입금하면 연락 두절

청년 대상 전세대출, 생계대출 등을 사칭
정식 금융기관은 “선입금 요구” 절대 없음

 

스미싱 링크 유도 / APK 설치형 해킹

  • “서울시 재난지원금 지급 완료. 확인하려면 클릭하세요.”
  • → 링크 클릭 → 알 수 없는 앱 설치 유도 → 전화·문자 가로채기
  • 통장에서 자동 이체, 계좌 정보 탈취

링크 클릭만 해도 위험
설치파일(.apk)은 절대 실행 금지

 

알바 사칭 ‘불법 계좌 대여’

  • "SNS 게시글 홍보만 하면 하루 20만 원 드려요."
  • "당신 계좌를 임시로 사용하게 해 주세요."
  • 계좌가 범죄에 악용되어 본인이 피의자 되는 경우 있음

실제 청년 무고 입건 사례 다수
절대 본인 명의 통장, 휴대폰, 인증서 대여 금지

 

로맨스 사기 / 심리 사기

  • “해외에서 당신을 보고 반했습니다”
  • “내가 한국에 가기 위해 항공료가 필요해요”
  • 심리적 친밀감을 유도해 송금 요청

고립된 청년·자취생 타깃
해외 IP + 메신저 이동 요구 시 100% 사기

 

실제 피해 사례 요약

사례 수법 피해 금액
① 27세 직장인 A씨 서울시 지원금 문자 클릭 → APK 설치 180만 원 인출
② 31세 프리랜서 B씨 블로그 댓글로 대출 유도 → 선입금 250만 원 송금
③ 25세 대학생 C씨 인스타 홍보 알바로 계좌 대여 본인 명의로 대포통장 이용 → 경찰조사
 

피해자의 공통점은:
-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DM
- 정부정책·지원금 등을 믿고 안심
- 송금, 인증, 앱설치 등에 '그냥 응함'

 

사기 확인 방법 (청년 필수체크 5가지)

항목 내용
① 출처 확인 정부, 지자체는 '공식 도메인(.go.kr)' 외 문자 발송 안 함
② 링크 URL ‘naver-go.kr’ 등 유사 주소는 100% 가짜
③ 선입금 요구 돈을 먼저 요구하면 무조건 사기
④ 앱 설치 유도 .apk 파일 설치 자체가 위험
⑤ 정식 기관 연락처 비교 금감원 앱 또는 1332 전화로 확인 가능
 
 

사기 피해 시 대처 방법

즉시 송금 차단

  • 은행 고객센터 → 계좌 지급 정지 요청
  • 송금한 경우 → 경찰 신고 + ‘피해구제 신청’

스미싱 앱 제거

  • 안전모드 부팅 후 악성 앱 삭제
  • 백신 앱 이용 또는 휴대폰 초기화

대포통장 신고

  • 본인 명의 계좌 대여 시 → 즉시 거래 중지 요청
  • 경찰서 방문 후 사기 피해자 소명 필요

국번 없이 ☎112 (경찰), ☎1332 (금감원), ☎118 (보안 상담)

 

자주 묻는 질문 (FAQ)

Q. 정부 지원금 안내 문자가 왔어요. 진짜인가요?
A. 대부분 가짜입니다. go.kr 도메인 + ‘정부24’ 앱에서만 확인 가능합니다.

 

Q. 대출받으려면 선입금이 필요하다는데요?
A. 어떤 금융기관도 입금 전에는 돈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100% 사기입니다.

 

Q. 이미 계좌번호, 인증서 정보를 알려줬어요.
A. 즉시 해당 은행에 연락해 지급 정지 → 경찰에 피해 신고하세요.

 

마무리

사기는 예고 없이 다가오고,
피해자는 "설마 나겠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요즘 사기는 딱 ‘청년 1인 가구’의 상황을 정조준합니다.

✔️ 지원금
✔️ 대출
✔️ 부업
✔️ SNS
✔️ 링크

이 다섯 가지 단어가 함께 등장한다면,
그건 혜택이 아니라 위험신호입니다.

‘지금 당장 도움이 필요한 청년’일수록
정보를 먼저 알고, 대응법을 기억해 두는 게 진짜 자산입니다.